다크 모드 디자인 패턴과 금융 앱 적용 전략


왜 다크 모드인가?

금융 앱에서 다크 모드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기본 옵션이 되었습니다.
2019년 iOS 13과 Android 10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후, 현재는 대부분의 앱에서 표준 기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다크모드는 시각적 피로 완화 즉, 어두운(저조도) 환경에서 화면의 눈부심을 줄여 사용자가 더 편안하게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원래 초기 컴퓨터의 CRT 모니터는 전력 효율을 위해 검은 배경에 밝은 텍스트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 원리가 현대의 OLED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면서 배터리 절약기술로 활용되고 있다고 하죠

(OLED는 픽셀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방식이라, 검은색을 표현할 때는 픽셀을 완전히 끄게 됩니다. 이로인해 전력 소모량이 크게 줄어들어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다크모드 사용이유은 작업효율성향상, 눈의피로도감소, 트랜드반영
다크모드의 필요성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휴대폰 OS에서는 어떻게 다크모드를 적용하고 있을까?

구글과 ONE UI의 경우 블랙보다 다크 그레이(#121212등), 그림자 대신 면 밝기, 낮은 채도와 높은 명도라는 유사한 흐름으로 발전 중입니다.

애플은 시스템 전체(iOS)에서 다크모드를 통일된 테마로 제공하여,어두운 환경에서도 눈부심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었고 “순수한 검은색(#000000)”을 활용해 디자인보다 기술의 특성(OLED)을 강조하는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OS 모두 최근에는 다크 그레이 기반, 면 밝기에 의한 위계 표현, 낮은 채도/높은 명도라는 공통된 흐름으로 수렴하고 있습니다.

구글, ONE UI에서 구현된 다크모드
구글과 ONEUI
구글 (Material Design)
배경: 짙은 회색(#121212)
엘리베이션: 그림자 대신 면 밝기의 차이로 깊이감 표현
색상: 채도는 낮추고 명도를 높여 시각적 부담 최소화

삼성 (One UI)
Material 가이드를 따르면서 자체적인 UI 톤 적용
배경은 블랙, 주요 카드·패널은 다크 그레이
브랜드 컬러는 낮은 채도로 표현하여 안정성 확보
애플 HIG에서의 구현된 다크모드
애플(HIG)
애플 (Human Interface Guidelines, HIG)
배경: 블랙(#000000)은 제한적으로 사용, 주요 면은 다크 그레이를 사용
엘리베이션: 밝기 차이로 깊이감 표현
색상: 라이트 모드 대비 명도를 높여 요소 간 가시성 확보

앱의 성격에 따른 다크 모드 디자인 전략

단순히 미적 요소가 아닌, 앱 성격에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 전략

미디어 중심 앱 (YouTube, Netflix)

콘텐츠 몰입 극대화를 위해 순수 블랙 배경과 고채도 브랜드 컬러를 사용하여 영상, 이미지 콘텐츠가 돋보이도록 설계하고 있습니다.

미디어앱에서 다크모드모습
미디어앱

데이터·생산성 중심 앱 (Google, Naver, 협업툴 등)

장시간 사용을 고려해 부드러운 대비와 짙은 회색 배경을 채택하고 아이콘은 저채도·고명도로 처리해 안정적 가독성 확보가 필요합니다.

사용자들은 이미 이러한 패턴에 익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앱에서도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생산선중심앱에서 다크모드
데이터 및 업무앱

금융 앱에서의 다크 모드 적용

금융·증권 앱은 장시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확인해야 하는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눈의 피로를 줄이고, 정보 위계를 명확히 전달하는 디자인전략의 핵심입니다.

불필요한 시각적 자극은 최소화 명도 대비를 활용한 시선 유도 차분하고 안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강화 데이터 가독성에 최적화된 부드러운 톤 적용하는게 중요합니다.

금융 앱의 다크 모드는 단순히 ‘옵션 기능’이 아니라 서비스 경쟁력과 직결되는 필수 UX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금융앱에서 다크모드

Figma에서 다크 모드 적용하기

피그마에서 다크 모드 적용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Local Variables로 색상을 토큰화하고 Mode 전환으로 라이트/다크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figma의 Local variables에서 다크모드셋팅이미지
FIGMA LOCAL VARIABLES MODE


Figma Local Variables는 Mode 기능을 지원합니다.테마 전환할 수 있는 Appearance( 레이어, 그룹, 컴포넌트 등 디자인 요소에 ‘변수(Variables)’를 적용하여 모양을 제어하는 기능)을 통해 Light / Dark 모드를 각각 Mode로 정의하면, 한 번의 전환으로 전체 UI 색상이 자동 변경됩니다.

 figma에서 Appearance를 사용하여 다크모드 전환
FIGMA APPERANCE

이렇게 함으로써 라이트/다크 모드를 별도 디자인 파일로 분리하지 않아도 되고 색상값 변경 시 한 번만 수정하면 전체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개발 시에도 토큰 파일(json 등)로 내보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해, 코드와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다크 모드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UX와 브랜드 전략을 동시에 강화하는 필수 설계 요소입니다.

특히 금융 앱과 같이 장시간 데이터를 다루는 서비스에서는 안정적이고 가독성 높은 다크 모드가 사용자 신뢰와 만족도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 다크 모드를 설계할 때는 플랫폼 가이드라인, 앱 특성, 디자인 툴 적용 방식을 함께 고려하는 종합적 접근으로 멋진 다크모드를 구현해 보세요

Share this article
Shareable URL
Prev Post

디자인 시스템에서 Figma Swap(스왑) 라이브러리 적용 사례